와탭은 서버 모니터링 뿐만 아니라 애플리케이션, 데이터베이스, 쿠버네티스, 로그 등 다양한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.
그 중 '서버 모니터링' 만 사용할 것이므로 lightsail 서버와 연결하는 방법을 정리하였다.
1. 회원가입
일반 웹 사이트 회원가입시 동일하게 진행한다.
회사명에는 '개인' 이라 적고, 회사 메일도 내 개인 메일주소를 적었다.
해당 메일로 온 인증메일을 확인하면 완료.
2. 서버 등록하기
lightsail 의 적용시킬 인스턴스의 네트워킹 탭으로 이동 후
네트워크 규칙 추가로 6000 포트를 추가한다. (IPv6에도 동일하게 적용한다)
와탭으로 다시 돌아와, 좌측 '서버 모니터링 소개' 카테고리에 들어가서 '시작하기' 를 누른다
프로젝트를 생성해준다.
AWS Lightsail 과 연결할 것이므로, 데이터 서버 지역을 Korea - AWS-Seoul 로 선택한다.
프로젝트가 생성이 되면 '에이전트 설치' 창이 보여진다. 각자 본인의 서버 환경에 맞는 에이전트를 설치해준다.
(본인은 Lightsail 의 서버를 우분투로 설정하였으므로 우분투 에이전트 설치 버튼을 누른다.)
프로젝트 액세스 키를 발급 받은 후에 차례대로 진행한다.
복사한 위 명령어를 lightsail 의 인스턴스 우분투 서버에 붙여넣어 실행시킨다.
동일하게 실행한다. 가려진 license 코드는 이미 발급 받은 액세스 키 값이 들어가 있으므로 그대로 진행한다.
프로젝트 목록 화면에 등록한 프로젝트에 관한 서버 정보가 보여진다.
클릭해 보면
사진과 같이 현재 서버의 리소스 보드 화면이 보여지고, cpu, 메모리, 디스크 등 서버의 현 상태에 대해 모니터링이 가능하다.
친절하게도 설치 가이드 영상이 유튜브에 올라와 있으니 참고해서 진행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.
'프로그래밍 > 토이프로젝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서버 모니터링 툴을 활용한 프로젝트 성능 관리 (2) | 2024.12.31 |
---|---|
OAuth2와 Google 인증 구현 과정 (1) | 2024.11.20 |
JpaRepository란 무엇인가? Spring Data JPA의 CRUD 연동을 쉽게 만드는 방법! (0) | 2024.11.10 |
[2차 개발] 주제 변경, 기획 그리고 고민 (1) | 2024.10.31 |
배포 후 이미지 업로드 시 500 에러 발생 (0) | 2024.10.31 |